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57

PDF 설정 사이트 pdf 파일과 관련된 설정 사이트가 있다. Smallpdf 라는 사이트다. Smallpdf.com - PDF와 관련한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는 무료 솔루션 Smallpdf - 모든 PDF 파일을 아주 쉽게 변환, 또는 편집이 가능하게 해줍니다. 뿐만 아니라, 모든 PDF 관련 문제를 저희 웹사이트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,,,네, 맞습니다. 무료입니다! smallpdf.com pdf 파일의 암호 설정 및 해제, 분할, 파일 변환 등의 기능이 있다. 예를 들어, 암호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에는 왼쪽 상단의 [도구] 메뉴를 클릭해 [PDF 잠금 해제]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. 원하는 파일을 사이트에 업로드해서 암호 해제 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. 2023. 2. 28.
[com] Mbps MB/s 차이 Mbps = Megabit per second MB/s = Megabyte per second 1byte = 8bit 2023. 1. 30.
[Linux] 명령어 실행 결과 저장 리눅스에서 명령어 실행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이다. '>' 기호를 사용하면 된다. [명령어] > [파일] ps -ef > ps.txt 생성된 파일은 현재 작업 경로에 생성된다. 특정 경로에 저장하고 싶을 경우 '>' 기호 뒤에 경로를 함께 적으면 된다. ps > 2023/ps.txt 현재 경로에 있는 '2023' 폴더 안에 'ps.txt' 파일을 생성한 것이다. 2023. 1. 30.
[Linux] 포트 별 트래픽 확인 명령어 서버에 연결된 각 랜의 트래픽 수신 여부 확인을 위한 명령어 tcpdump -ni [interface] tcpdump -ni em3 2023. 1. 30.
[Linux][html] html 파일 실행 시 한글 깨짐 linux 서버에 html 파일을 올려 실행했을 때 한글이 모두 깨져서 알아볼 수 없을 때가 있다. html 파일 헤더에 utf-8, euc-kr 어느 것으로 설정하든 깨질 수 있다. 이건 저장할 때 설정한 인코딩이랑 안 맞아서 그런다. notepad(메모장)에서 작성, 수정하고 저장할 때 인코딩을 설정할 수 있다. 인코딩 설정을 utf-8로 하고 저장한 뒤 리눅스 서버에 옮기고 실행시켜도 한글이 다 잘 뜬다. 2023. 1. 12.
728x90
반응형